건강박사인척/당뇨

당뇨병 바로 알기

해쁠 2021. 4. 26. 14:16
728x90
반응형

 

 당뇨란?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양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으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우리 몸은 주된 에너지원으로 포도당을 사용하는데

 

췌장에서 이 포도당을 조절하기 위해 분비되는 것이

 

인슐린입니다.

 

 

 

분비되는 인슐린의 양이 조금 나오거나

 

아예 나오지 않으면

 

혈액 속에 당이 높아져 발생하는 것이 당뇨병입니다.

 

 

 

 

혹은 인슐린은 많이 나오지만

 

비만이나 고지혈증 등으로 인해

 

인슐린이 정상적으로 작용을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전적, 환경적요인, 면역, 감염 등과 관련이 있으며

 

이 요인들이 단독 혹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쳐서

 

당뇨병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당뇨병 증상은?

 

 

 

 

대표적인 당뇨의 초기증상은

 

다음, 다식, 다뇨 입니다.

 

 

당뇨환자의 경우 평균 소변 횟수가

 

10회이상을 넘어가는 것이 대부분입니다.(다뇨)

 

또한 극심한 허기를 자주 느끼거나(다식)

 

밤에 자주 목이 마르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다음)

 

 

 

 

 

 

 

당뇨병의 진단?

 

 

 무작위로 혈액검사를 했을 경우

 

혈당이 200mg/dL가 넘으면

 

당뇨병을 의심 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8시간 이상 공복시 혈당이 126 이상인 경우,

 

그리고 세 번째는 경구 당 부하 검사를 시행했을 때 

 

2시간 이후의 혈당이 200mg/dL 이상인 경우

 

당뇨병이라고 진단합니다.

 

 

 

 

 

 

 

당뇨 합병증이란?

 

 

당뇨병으로 진단이 되면

 

눈, 신장, 신경 등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여

 

합병증이 어느 정도 와 있는지 검사해야 합니다.

 

당뇨는 합병증이 동반되는 질병이기 때문에

 

합병증 검사를 통해 몸의 상태를 확인하고,

 

그에 맞는 치료를 통해 합병증의 속도를

 

유지, 지연 시킬 수 있습니다.

 

 

 

 

당뇨병  치료?

 

 

당뇨병 치료를 하는 이유는

 

합병증을 더디게 발생하게 하고

 

몸의 신진 대사를 적절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즉,  혈당을 잘 조절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혈당을 조절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혈당은 음식물의 섭취와 운동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당뇨병의 원인이 무엇이든 간에

 

식이요법과 운동은 필수적인 치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꾸준히 관리하고 정기적으로 검진하여

 

합병증을 최대로 늦추는 것이

 

당뇨병 관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